목 차
들어가는 말
제 1장 반야심경을 읽기 전에 • 원래 제목이 없는 경전이다 • 형식을 파괴한 경전이다 • 『반야심경』의 인기 비결 • 범본 『반야심경』과 한역 『반야심경』 • 『반야심경』을 한역한 구마라집 • 『반야심경』을 한역한 현장 • 현장과 구마라집 한역의 차이 • 한역 『반야심경』의 주석서 • 한역 『반야심경』 • 한역 『반야심경』의 우리말 번역 • 범본 『반야심경』 로마자 • 범본 『반야심경』의 우리말 번역
제 2장 『반야심경』의 제목을 해설하다 •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제목을 해설하다 • 위대하고 위대하도다, 마하 • 공을 체득한 완전한 지혜, 반야 1 • 공을 체득한 완전한 지혜, 반야 2 • 차안에서 피안으로 건너다, 바라밀다 • 완성 • 반야경의 엑기스를 담다, 심 •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를 담은 책, 경 • 결집 • 여시아문 • 팔만대장경이란? • 『반야심경』을 4장으로 나누어 해설하다
제 3장 입의분(入義分)을 해설하다 • 나는 누구이며, 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자유자재하게 세상의 이치를 관찰하다, 관자재 • 중생의 고통스러운 소리를 듣고 구제하다, 관세음 • 달라이 라마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이다 • 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며 중생을 구제하는 자, 보살 • 깊고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실천하다 • 완전한 지혜로 깨달음의 경지인 피안으로 건너게 하다 • 6바라밀이란 • 나의 본래 모습은 공한 존재이다, 조견오온개공 • 다섯 가지 덩어리로 이루어진 나는 공한 존재이다 • 물질은 공하다 • 감수 작용은 공하다 • 개념 작용은 공하다 • 의지 작용은 공하다 • 인식 작용은 공하다 • 5온에서는 왜 수·상·행만을 설정했을까 • 공은 제로이다 • 자성이 공하다 • 인류의 위대한 발견, 제로[공]와 아뢰야식 • 나는 왜 연기적 존재이고, 공한 존재인가? • 모든 고난과 재앙에서 벗어나다
제 4장 파사분(破邪分)을 해설하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모든 것은 공하다 • 지혜제일 사리자 • 조롱의 대상인 된 사리자 • 깨달은 눈으로 보면 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다 • 제법실상 진공묘유 • 깨달은 눈으로 보면 색이 공이고, 공이 색이다 • 즉시란 • 정신작용도 공하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존재하는 모든 것은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이다 • 존재하는 모든 것은 공한 특질을 가졌다 • 제법이란 • 법이란 • 법이란 본보기이다 • 공의 눈으로 보면 제법은 불생불멸이다 • 공의 눈으로 보면 제법은 불구부정이다 • 초기불교의 수행법인 부정관 • 공의 눈으로 보면 제법은 부증불감이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5온, 12처, 18계는 공하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5온은 공하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12처는 공하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18계는 공하다 • 깨달은 눈으로 보면 12연기도 공하다 • 12연기란 무엇인가? • 12연기 ① 무명·행 • 12연기 ② 식·명색·육입 • 12연기 ③ 촉·수 • 12연기 ④ 애 • 12연기 ④ 애/ 가. 까마 • 12연기 ④ 애/ 나. 욕 • 12연기 ④ 애/ 다. 탐욕 • 12연기 ⑤ 취·유·생·노·사 • 깨달은 눈으로 보면 4성제도 공하다 • 4성제란 • 고성제 • 고집성제 • 고멸도성제란 • 8정도 • 고멸성제 • 지혜도 얻음[소득]도 공하다
제 5장 공능분(功能分)을 해설하다 • 보살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므로 마음에 장애가 없다 •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마음에 장애가 없기에 두려움도 없다 • 『범망경』의 가르침 • 전도몽상을 벗어나다 • 전도란 상락아정이다 • 깨달음의 세계[열반]에 들어가다 • 유여열반과 무여열반 • 삼세제불 •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여 무상등정각을 얻다
제 6장 총결분(總結分)을 해설하다 • 반야바라밀다는 최상·최고의 주문임을 알아야 한다 • 반야바라밀다는 대신주, 대명주, 무상주, 무등등주이다 • 반야바라밀다는 괴로움을 제거하며, 진실하다 • 최상·최고의 주문, 아제 아제 바라아제 • 아제 아제 • 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 • 반야바라밀다심경을 마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