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 전체기사

교수 재임용 탈락 능인대 교수들 ‘반발’

이학종 기자 | urubella@naver.com | 2016-12-15 (목) 14:15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 ‘재임용거부취소결정’ 불구 다시 해임  
부총장 “평가 따른 것”…탈락 교수들 “총장스님과 대화 희망”


능인선원이 설립한 능인대학원대학교(이하 능인대)가 개교 3년차를 맞아 교수 재임용 거부와 관련해 파행을 겪고 있다.

 

지난 2014년 9월 석사과정 2년제 2개학과(불교학, 응용불교학) 학생 정원 100명에 교원 16명(인가 시 사전임용 8명, 개교 1년 후 8명)을 설립조건으로 교육부 인가를 받아 개교했다.

 

문제의 발단은 설립 인가 시 사전에 임용되어 최초 임용계약이 2년이 지나는 시점인 지난 8월 31일을 기준으로 만료 2개월 전에 학교법인이 사유를 밝히지 않은 채 5명의 교수들이 재임용에서 탈락시키는 과정에서 불거졌다. 

 

이에 재임용이 거부된 5명의 교수 가운데 3명의 교수가 대학에 이의를 제기하고, 지난 7월 22일자로 교육부의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소청을 제기하여 9월 22일 소청심사위원회로부터 교원재임용거부취소결정통보를 받았다. 

 

그러나 능인대는 교원인사위원회는 다시 재임용 거부를 결정한 후 해당 교수 3인에게 재임용 거부 결과를 통보했다. 이에 따라 학교측과 해당 3인의 교수들은 12월 16~17일 교원인사위원회와 면담이 예정되어 있다.

 

능인대 교수 재임용에서 탈락한 김재권 교수와 고승학 교수가 기자회견을 통해 부당함을 호소하고 있다.

 

재임용 탈락 교수들은 이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지 않는다면 부득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지난 13일 기자회견을 열어 밝혔다.

 

이들은 “이 같은 능인대의 무리하고 탈법적인 학사행정은 총장을 대리하여 전권을 행사하는 부총장의 독선이 빚어낸 문제이며, 터무니없이 낮게 책정된 2기 임용 교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봉이 높은 1기 교수들을 내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재권, 고승학 교수는 “능인대 문제는 총장 지광 스님이 선원의 일로 바빠 학교운영의 많은 권한을 김철주 부총장에게 넘기면서 빚어진 문제”라고 거듭 강조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총장스님과 만나 정확한 경위를 설명하고 원만하게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두 교수는 또 “학칙에 어긋나는 것을 알면서도 인사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신임 교원들도 이 문제가 기존 교원들의 문제만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에서 학교의 발전과 교수의 지위보장을 위해 협력해주실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두 교수의 부당한 재임용 탈락 주장과 관련 김철주 부총장은 “설립된 지 얼마 안 된 대학의 초창기에 학교운영을 위한 여러 가지 행정절차나 규칙 제정 등에서 행정 책임자와 교수들 간에 일부 불가피하게 의견이 맞지 않아 충돌이 빚어지는 경우가 있는 것일 뿐 부총장의 전횡은 없다”고 반박했다.

 

또 한 김 부총장은 “지난 8월 달에 평가를 하고 재임용을 않은 것에 대해 교육부 소청심사위원회에서 재임용거부취소 결정을 내린 것은 대학측에서 재임용 거부에 따른 규정에 맞지 않게 실수, 즉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요건에 맞춰 다시 처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재임용 탈락 교수들과의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김 부총장은 “부총장의 입장에서 언급할 사안은 아니”라고 전제한 후 “교수의 해임사유는 학교의 규정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화를 하고 사정을 봐주는 여지가 원칙적으로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붓다행 2016-12-15 23:58:17
답변 삭제  
두분 교수님들 마음 고생 심하셨겠어요. 학교 운영 파행이 정말 한심하네요. 총장도 아니고 부총장이 왜 마음대로 하시는지. 어떻게 신임교원이 전임교원 해직을 결정합니까? 듣다 처음 보는 얘기네요. 동네 구멍가게도 아니고.
비굴하게 윗선 눈치보며  자리 차지하고 계신 신임 교수님들. 지성인이라 할수없네요.
그런 사람들만 있는 대학은 문닫는게 낫겠네요.
유마 2016-12-16 19:10:25
답변 삭제  
능인대학원대는 능인선원의 원력으로 세워진 대학이라 기대가 컸는데, 능인선원의 명성이 아깝네요. 온통 세상이 갑질유행인데, 불교대학마저 그러다니. 하루빨리 상생과 화합의 차원에서 명성에 걸맞게 교육부 소청위원회의 결정을 수용해서 원만히 회향하길 바랍니다. 두분 교수님들 끝까지 힘내세요. 사필귀정입니다.
결단하소 2016-12-16 19:23:48
답변 삭제  
작은 욕심으로 결국 큰 화를 입으니, 사사로운 감정싸움에 휘둘리지 말고 결단을 내리세요. 능인대학원은 교수들이 불교학계에서 제 몫을 하는 분들이라 기대하고 있는데. 학교당국은 정신차리세요. 지광스님 결단을 내리세요. 무능한 간신배를 하루 빨리 처단하세요.
소크라테스 2016-12-16 23:03:12
답변  
오죽하면 탈락시켰노?
정신나간거지 2016-12-17 00:22:42
답변 삭제  
공심이 없다보니 사심에 눈이 멀었겠지
소크라 2016-12-16 23:05:37
답변  
오죽하면 탈락시켰겠어
소가크니 2016-12-17 00:25:18
답변 삭제  
나라꼴은 엉망여도, 불교계라도 잘되야 할텐데!
무뇌는 어쩔 수가 없는겨! 이제는 정신차려야지.
장난하삼? 2016-12-17 00:13:18
답변 삭제  
기사를 읽고도 그런 말을 하나요? 저 분들이 오죽하면 저렇게까지 했을까요?
한심한친구 2016-12-17 00:27:26
답변 삭제  
소크라테스나 소크라나 꼭 어딜가나 한심한 친구들이 분위기를 꼭 흐리기 마련이야.
평택 2016-12-17 16:54:20
답변 삭제  
남의 일 같지 않다. 나라꼴이나 대학이나 갑질하는 인간들 꼭 있더라. 이번에 제대로 고쳐놓지 않으면 계속 당하고 살아야 하지 않겠나. 용기내시길.
교수 2016-12-17 19:17:56
답변 삭제  
새로 뽑으셰요 . 어짜피 문제교수는 어디가나 문제이ㅑ
놀구있네 2016-12-17 21:49:44
답변  
정신줄 놨나. 그 돈으로 좋은 교수 뽑을 수 있겄나! 돈은 아깝고 기냥 대학 문닫는게 낫겄네. 불교계 그만 더럽히고.
학교설ㄴ닙해 2016-12-18 07:17:00
답변 삭제  
본질을 제대로 알고  계신가?
그돈이면 저정도 교수 트럭으로 채울듯 한데
정신차려 2016-12-18 07:12:42
답변 삭제  
한쪽 주장만  가지고는  ,,
학교설립해라 2016-12-18 07:22:28
답변 삭제  
그냥 학교설립해라. 목매지 말구 .자칭 잘난친구들 같은디
참나 2016-12-18 09:44:03
답변 삭제  
계속해서 악플 다는 분이 있네요. 능인 쪽 관계자이신가요? 재임용 대상 교원 7인 중 5인을 치는 학교가 정상이라 보십니까? 거기에 저항하는 이들은 "잘난 친구들"이구요?!
쯧쯧 2016-12-18 09:48:26
답변 삭제  
마지막 부총장 말이 더 가관이네요. 마치 교원들이 "사정을 봐"달라고 하는 것처럼 말했네요. 저런 자가 부총장이니 교수들을 평소 어떻게 대했을지 안 봐도 비디오네요. 교수들의 자존심을 끝까지 우롱하는데...
다른학교로 2016-12-19 09:14:07
답변 삭제  
다른학교로 확 가버려!
그럼 학교 문닫을라나?
부당하네요 2016-12-19 22:11:00
답변 삭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자르는 것을 우리는 마땅히 '전횡'이라고 합니다. 항의하는 교수들을 지지하지 않는 몇몇 악플러들은 자신이 근거없이 부당행위를 당해도 아무 말도 하지 마시길...
부당행위 2016-12-20 16:17:54
답변 삭제  
요즘 시국에 딱 맞는 갑질과 전횡의 사건이네요.

댓글을 보다가 답답하여 몇자 씁니다. 오죽하면 탈락시켰노?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네 그래서 사립학교법이 있는 것이구요. 교원소청심사에서 승소하면 다시 임용되는 것이 사립학교법에 따르는 합법인데 계속 학교에서는 위법을 저지르겠다는 것이나 마찬가지 상황인 것입니다. 그것도 불교학교에서... 그러니 안타까운 것이구요.

기사 마지막에 또한 김 부총장은 “지난 8월 달에 평가를 하고 재임용을 않은 것에 대해 교육부 소청심사위원회에서 재임용거부취소 결정을 내린 것은 대학측에서 재임용 거부에 따른 규정에 맞지 않게 실수, 즉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요건에 맞춰 다시 처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고 나와있는데 니 내용이 사실이라면 이상하네요.

교원소청심사에서는 일일이 캐면 대학이나 법인, 책임자 망신 당할까봐 대체로 '절차상 하자'로 보내줍니다. 나름의 배려가 뭍어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재판에서 1심하고 지면 1심 또 하나요? 다시 처리가 어디있는지... 우리는 법을 따를 수 없습니다라고 얘기하는 셈...
셔터내려 2016-12-20 21:11:24
답변 삭제  
그냥 학교 문닫아버려요
불교계 욕먹이지말구.
ㄷㄷㄷ 2023-02-03 12:07:19
답변 삭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떠오르는것은 기분탓인가..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