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ㆍ문화재 > 문화재

"불교계와 먼저 논의.협의 못한 것은 불찰"

배희정 기자 | chammam79@hanmail.net | 2016-05-30 (월) 15:37

이영훈 국립중앙박물관장, 30일 불교계 언론에 '불교 의식 불허 논란' 해명
성보문화재에 대한 인식 제고․성보박물관 등과 공동 전시․조사․연구 확대







국립중앙박물관이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특별전과 관련, 일본 주구사의 개안 법회는 허용한 채 한국 불교 측의 헌다 등은 불허했다는 논란이 일자 해명에 나섰다.
 
이영훈 국립중앙박물관장(사진)은 5월 30일 박물관 사무동 1층 브리핑룸에서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특별전시 관련 불교계 언론 초청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관장은 "박물관이 외국과의 교류가 적어 미흡한 점이 있었다"며 "최근 논란이 된 우리나라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에 대한 헌다․헌화 의식 불허와 관련, 이해를 구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라고 설명회의 취지를 밝혔다.

 

그는 일본 주구사 목조반가사유상은 사찰 소장품으로 상대 기관인 도쿄국립박물관 측이 출품에 관련된 모든 책임을 국립중앙박물관에 요청했다면서 그 과정에서 주구사 측의 개안 법회를 봉행해야 한다는 조건에 따라 헌다·헌화의식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의 경우는 특정 사찰 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법회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 관장은 한국 측의 입장이 배제됐다는 논란에 대해 "국민적 정서를 고려했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당초 주구사 측의 개안법회에서는 한국 측이 헌화, 헌다하기로 돼 있었다"면서 "일본 우라센케의 다도를 지켜봤으나 우리나라의 다도와 달라 일본식으로 78호 반가사유상에 헌다하는 것은 부적절하기에 국민적 정서를 고려, 주구사의 일본 측 승려 등이 추구하는 헌다, 헌화가 배재됐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한국 불교의식을 배제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일본 측 법회에 상응하는 한국 측 법회의 개최 여부를 먼저 선제적으로 협의․논의하지 못한 것은 불찰"이라면서 "불교계와 불자들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며 정중하게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또 지난 26일 조계종 문화부장 정안 스님을 예방해 양해를 구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 관장은 어떤 종교건 유사 성보문화재 전시에 앞서 대표 단체나 기관 등이 종교의식을 사전 요청하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종교적 의미와 가치를 미학적 가치와 함께 균형 있게 전달하겠다면서 모든 직원에 대한 교육 실시로 성보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성보 문화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도록 애쓰겠다고 말했다.

 

또 성보박물관 등 종교계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박물관과의 공동 전시․조사․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문화재 관련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문화재 반환 문제와 관련해서는 "문화재청과 협의가 필요하다"면서 "어떤 것이 국민들의 편에서 보는 사안인지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관장은 "논란이 일었으나, 한일 양국 국민이 사랑하는 반가사유상을 통해 불교계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서로 이해하면서 우호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는 것이 이번 전시의 기획 의도"라면서 사부대중의 많은 관심과 관람을 당부했다.
 
이번 특별전은 오는 12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어지며,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서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이 관장은 "불교 의식과 관련한 조계종의 공식 요청이 있을 경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영훈 국립중앙박물관장은 6월 1일 오후 7시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특별전의 해설에 나선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