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연재 > 박호석 법사

“술, 지혜를 갉아먹는 독(毒)”

박호석법사 | phoseok@hanmail.net | 2015-10-01 (목) 09:58

그리스신화에는 술을 신(神)들만 마실 수 있었는데 ‘문화의 신’이자 ‘술의 신’이기도 한 디오니소스가 인간에게도 허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면 문화의 신과 술의 신이 동일하다거나 신들만 마셨다는 것을 보면, 술이 신성한 존재였음이 분명합니다.
 
기독교에서 포도주는 그 빛깔 때문에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흘린 피로 상징됩니다. 그래서 그것을 마심으로써 그리스도와 일치시키는 의식인 성체성사(聖體聖事)를 합니다. 그리고 성체성사에서는 예수님께서 최후의 만찬에서 12제자에게 하신 말씀을 사제가 외웁니다.

 

“이 잔은 내 피로 맺는 새 계약이다. 너희는 이 잔을 마실 때마다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개신교가 술을 금지하는 것에 비하면 천주교는 매우 관대한 편입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천주교 사제들은 포도주는 물론 다른 술도 마시고, 심지어 담배를 피워도 흠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불교에는 출가는 물론 재가에게도 ‘술을 마시지 말라’는 불음주계가 있습니다. 불음주계는 오계에 속하는 아주 엄중한 계목이지요. 그런데 술이 음료로 취급될 정도로 피할 수 없는 세상이 되다보니 요즈음에는 불음주계를 지나치게 마시지 말라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조선조 명종 때, 문장가로도 이름을 날린 진묵(震黙,1562-1633)대사는 술을 무척 좋아하였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스님은 마셔서 취하면 술이고 그렇지 않으면 차(茶)라고 하여, 술을 곡차(穀茶)라고 했답니다. 누가 술이라고 하면 절대로 마시는 법이 없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스님이나 불자들이 어쩔 수 없이 술을 마셔야하면 곡차라는 이름으로 술을 마시는 빌미를 대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합니다.
 
시인 신천희는 “날씨야,/ 네가 아무리 추워봐라./ 내가 옷 사 입나,/ 술 사 먹지.”라고 술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을 절절히 표현했습니다. 또, ‘술은 하늘이 내린 복’이라느니 '술은 모든 약 가운데 으뜸'이라느니 하는 찬사는 역사와 함께 함께 기록한 말입니다.

 

그리고 예부터 술은 풍류를 즐기고 자연을 벗 삼은 수많은 호걸들의 벗이었고, 특히 술이 정신신경계를 자극하는 특성 때문에 문화예술가들이 상상의 나래를 펴는 촉진제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술이 인간관계, 나아가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한 순기능이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술이 가진 약리작용으로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스트레스 해소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요.

 

지난 2013년 12월 물의를 일으킨 일부 승려들의 음주사건에 대해 참회하는 조계종 종회의원들.

 
그러나 이러한 이점들이 꼭 술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명상(冥想)이나 선정(禪定)에서 얻는 예술적 창작력은 술에서 얻는 것보다는 훨씬 더 강렬하고 아름답습니다. 더구나 술에서 얻을 수 있는 약리작용을 대체할 더 좋은 식품이나 약품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지나친 음주는 엄청난 해악을 부른다는 것입니다.

 

술을 즐기다 보면 사람이 마시는 술을 술이 마시는 상황으로 발전하고, 결국에는 통제 불능상태가 되어 불행을 불러오는 경우를 우리는 수없이 목격하고 있습니다.
 
음주를 원인으로 하는 질병과 사건 사고는 물론이고, 특히 알코올중독자를 둔 가족이 겪는 가정폭력 등의 피해를 생각하면 술을 왜 마셔야하는지가 솔직히 이해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부모의 음주행태는 자식에게 상속된다고 합니다. 부모의 음주로 피해를 당해온 자식은 어릴 적엔 부모처럼 절대 술을 마시지 않겠다고 다짐하지만, 성장과정의 불안감·신뢰감 결여·소극적인 대인 관계 때문에 보통 가정의 아이들보다 문제해결 능력·인지 기능·또래 관계·학습 능력 등이 떨어진다는 것이지요. 이런 결과가 그들이 성인이 되면 부모의 음주행태를 따라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술을 즐기는 싱갈라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술을 많이 마시면 여섯 가지 손해가 생기느니라. 재물이 줄어들고, 병에 걸리기 쉽고, 남과 자주 다투게 되고, 좋지 않은 버릇이 드러나 평판이 나빠지고, 성질이 나빠지며, 지혜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싱갈라야. 술 마시는 버릇을 고치지 않으면 사업이 날로 줄어들 것이니라.”(<장아함경> 선생경)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음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연간 7조원 이상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과도한 음주에 따른 조기사망과 생산성 감소 등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20조원을 넘는 위험수위라고 합니다.

 

그런데 보건복지부가 각국 주요 보건의료 통계자료(OECD Health at a Glance 2013)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한국인이 한해 한사람이 평균 약 9ℓ의 알코올을 마신다고 합니다. 이를 보통 소주로 환산하면 1백24병, 캔 맥주로 환산하면 3백56캔을 혼자서 마신다고 하니 도저히 믿기지 않는 엄청난 양입니다. 또 다른 통계를 보면 우리가 세계 11위의 술 소비국인데, 이는 양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알코올 농도로 환산하면 아마 선두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릇된 음주습관이 건강과 재산을 잃고 사회에도 적잖은 해악을 끼치는 것은 부처님의 말씀이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우리 주위에서 보고 듣고 있습니다. 술을 마셔서 얻는 즐거움은 감각적인 쾌락에 불과합니다. 이런 즐거움은 불자가 속히 버려야하는 번뇌에 해당됩니다. 그래서 예부터 술은 ‘백독의 두령'이자 ‘악행의 씨앗’이라고 했습니다.



기사에 만족하셨습니까?
자발적 유료 독자에 동참해 주십시오.


이전   다음
Comments
도로명주소원래대로 2015-10-02 13:01:11
답변 삭제  
열정 정말 한심하기 짝이없는 실패한 행정 입니다 국민의 혈세로 가만 앉아 놀마 2차 피해는 없을껀데 탁상 공무원들 실적 올린다고 끌쩍 끌쩍 하다가 남따라 장에가듯 제안한 것을 아무 생각없이 시행한 정부의 무모한 행정에 누가 제동을 걸어야 하는지 참말 한심하기 짝이없는 떠나고 싶은 나라구나 누가 입안하고 누가 승인하고 누가 시행령 내맀는지 대국민 앞에 사과하고 백지청책으로 되돌리 놔라 15.09.10  0 아름다운나무 도서관에 가면 '동명연혁고'란 책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동네이름에 대한 유래, 지역의 역사를 먼 옛날부터 내려오는 이야기를 포함하여 풀어놓은 책입니다. 저에게는 동명을 없애고 도로명을 새로 만든 것이 일본놈들이 창씨개명을 강요했던 것과 별로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너무나 무시하고 이해도 못한 사업을 벌인 것입니다. 실제로 생활에서 사용하는데 너무나 불편한 것은 두말할 것도 없고요. 폐지하자는 범국민운동이 제발 꼭 일어났으면 좋겠습니다. 15.09.03  2 호랭이어흥흥 이명박정부때 시작한거같은데....누가돈먹으려고 계획한건지 알아내야함 15.09.03  1 kyj6214da 도로명 주소제도 발의한 인간 패버리고 싶다. 15.09.03  3 김정윤 사대강보와 함께 철거합시다! 15.09.02  *도로명주소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목소리 많군요. 필자 글의 취지와는 다르지만 법사님 노고에 공감하며 생각이 나서 옮깁니다. 도로명주소 폐지에 성공하시길 기원합니다.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미디어붓다